▲사진=정치부 국국회 신형수 부국장
▲사진=정치부 국국회 신형수 부국장

[일간투데이 신형수 기자] 6·1지방선거 사전투표가 28일로 끝났다. 20.6%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우리나라 지방선거 역사는 격동기를 함께 해왔다. 지방선거가 처음 실시된 것은 1952년이다. 한국전쟁 속에서도 우리나라 민주주의 발전을 위해 지방선거가 실시된 것이다.

1956년부터는 지방의원과 더불어 시·읍·면장도 선거로 선출했다. 1960년에는 광역단체장 선거를 실시하며 체계가 갖춰졌다.

하지만 5·16쿠데타가 일어나면서 지방의회가 해산되고 자치단체장은 임명제로 바뀌었다. 이후 1991년이 돼서야 지방선거의 부활을 알렸다. 1987년 6월 항쟁에 따라 마련한 헌법에서 지방자치 조항이 명문화됐기 때문이다.

1991년에는 지방의회 선거를 통해 기초·광역의원을 선출했고, 1995년부터는 지방자치단체장도 직선으로 선출하게 됐다. 1998년 2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실시하면서 우리나라는 4년에 한 번씩 지방의 일꾼을 선출해왔다.

그때부터 지방선거가 완전히 정착됐다. 지방선거는 중앙정권의 중간심판 역할도 해왔다. 지방권력이 교체되면서 국회도 교체되고, 그것을 바탕으로 대통령도 바뀌었기 때문이다.

대선과 총선에 비해 주목도가 떨어지지만 제일 중요한 선거가 지방선거이다. 시민들과 가장 밀접한 정치인이 지방자치단체장과 지방의원들이다.

광역단체장, 광역의회, 기초단체장, 기초의원, 광역의회와 기초의회의 비례대표, 교육감 등으로 인해 투표용지가 7장이다. 더욱이 국회의원 보궐선거까지 합치면 8장이다.

유권자 입장에서는 누구를 뽑아야 할지 고민스러울 수밖에 없다. 이런 이유로 줄투표, 혹은 기둥꽂기 등 같은 정당 후보를 연달아 뽑는 방법을 구사한다.

공보물의 두께가 크지만 꼼꼼히 살피는 유권자들이 많지 않다는 이야기다. 광역단체장이나 기초단체장 외에는 주목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지방선거 제도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많다.

하지만 그러자면 법개정을 해야 하기 때문에 당장 우리 유권자들이 해야 할 일은 공보물이나 기사를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 정당만 살펴보고 투표를 하는 것이 아니라 면면히 살펴봐야 한다는 것이다. 4년의 미래를 맡기는 것이기 때문에 신중히 검토해야 한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