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달새 7개 부지, 6500억 상당 매각 확정

▲ (제공=국토해양부)

지방이전 공공기관이 보유한 종전부동산 중 최근 한달새 7개가 매각이 확정되는 등 종전부동산 매각이 활기를 띄고 있다. 이는 총 6500억원 상당으로, 특히 서울시와 경기도가 매입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22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서울시의회가 지난 12일 광주·전남혁신도시로 이전하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부동산 매입을 의결했고 이어 17일에는 경기도의회가 전북혁신도시로 이전하는 지방행정연수원 부동산을 매입을 결정했다.

또한 경북혁신도시로 이전하는 기상통신소 부동산은 SH공사가 시행하는 ‘마곡지구 도시개발사업’에 편입돼 10월내 최종 매매계약을 체결한다. 세종시로 이전하는 한국개발연구원 부동산은 ‘홍릉 녹색성장단지’로 조성하기로 결정돼 국가 매입절차를 진행 중이다.

논산으로 이전하는 국방대학교 부동산은 '혁신도시특별법'상 매입공공기관인 한국자산관리공사에서 매입을 결정, 감정평가를 거쳐 연말에 매매계약을 체결한다.

대구혁신도시로 이전하는 한국정보화진흥원 부동산은 지난 9일 공개입찰에서 3개 업체가 응찰해 A기업이 약 702억원에 낙찰 받았다. 이밖에 제주혁신도시로 이전하는 국세공무원교육원 부속동은 중부지방국세청이 약 21억원에 매입, 대금전액을 지난 19일 납부했다.

이로써 지방이전 공공기관 매각대상 종전부동산 119개 부지 중 58개(49%)의 매각이 확정됐다.

국토부는 올해 초부터 종전부동산 매각 활성화 대책을 시행, 매입공공기관 및 지자체의 매입참여 활성화, 이전기관의 매각책임 촉구, 투자설명회 등 각종 매각지원 노력에 힘입어 종전부동산 매각 실적이 증가 추세다.

부동산 소재별 매각현황을 보면, 서울시가 55개중 21개(38%), 경기도는 59개중 34개(58%), 인천시는 3개 모두 매각이 확정됐다. 종전부동산 매각현황으로 공공기관 유형별 혁신도시 등 지방이전 사업을 전망해 보면, 정부소속기관의 경우 순항이 예상된다.

정부소속기관의 부동산 매각대금은 ‘혁신도시특별회계’로 통합돼 혁신도시내 청사건립 등의 비용으로 배분돼 사용하는데, 그간 매각지연에 따른 회계세입이 부족한 관계로 사업비 일부를 차입해 이전사업을 추진해 왔다.

그러나 이제 해당 부동산 총 46개(3.9조원) 중 39개(3.6조원), 금액기준 92%가 매각이 확정된 만큼 이전재원의 안정적인 조달에 청신호가 켜지게 됐다고 국토부는 밝혔다. 남은 매각대상 7개 중 국세공무원교육원을 제외한 6개 기관의 부동산도 매각협상 등이 진행 중이다.

문제는 정부산하기관 종전 부동산으로 아직 팔린 것보다 팔아야 할 것들이 더 많다.

정부산하기관의 이전비용은 기관별로 부동산 매각대금, 보유자금 등을 통해 자체 조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는데 현재 전체 60개 기관이 보유한 73개 부동산 중 18개 기관의 19개 부동산만 매각됐다. 앞으로 총 매각 대상은 49개 기관의 54개 부동산이 남은 상황. 기관 수와 부동산 수간의 차이는 정보화진흥원, 교통안전공단, 토지주택공사 경우 매각대상이 2개이고, 자산관리공사는 3개이다.

유형별로 보면 ▲입찰공고를 진행 중이거나 유찰된 부지가 25개 ▲감정평가 등 입찰공고를 준비중인 부지가 8개 ▲2013~14년 매각 추진계획 등인 부지가 21개 등이다. 국토부는 유형별로 다른 매각기준을 제시해 조속히 처리할 계획이다.

이들 세 가지 유형 가운데 나머지 2가지 유형의 경우 크게 매각이 문제될 것이 없다고 보지만, 입찰공고를 진행 중이거나 유찰된 부지 25개 부동산의 경우는 석유공사와 토지주택공사를 제외하고 대부분 자금압박을 받을 수 있는 정부출연기관 등이기 때문이다.

국토부는 이들 기관은 장기적으로 보유부동산 매각없이 이전사업이 완성되기 어려운 만큼, 기관별로 조기매각에 보다 심혈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국토부 공공기관지방이전추진단 도태호 부단장은 “현재 부동산 시장이 녹록지 않아 입찰공고만으로는 매각 골인점까지 도달하기 역부족인 만큼, 정부산하기관별로 특성에 맞는 실효성 있는 매각 자구책을 선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국토부는 매각촉진을 위해 합동투자설명회 개최, 매각 모범사례 공유, 매각장애요인 분석 등 다각적인 지원방안을 지속 확대 전개하고, 이전기관의 충분한 자구노력에도 시장매각이 여의치 않은 경우 필요시 추가대책도 강구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