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산업부 계준형 기자.

[일간투데이 계준형 기자] 전기차는 소비자들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부족한 충전시설과 비싼 차량 가격으로 인해 아직까지 판매량이 미미한 상황이다.

업계에 따르면, 올해 10월까지 하이브리드차는 5만1205대가 팔렸지만, 전기차는 이에 한참 못미치는 2896대 판매에 그쳤다. 반면, 폭스바겐 사태로 인기가 줄었다고는 하지만 디젤차의 판매량은 50만8281대에 달했다.

이같은 시장상황을 의식한 듯 정부는 보조금 혜택을 가장 많이 지급하는 등 전기차 중심의 친환경차 보급 확대 정책을 펼치며 '의무판매 제도' 카드를 만지작 거리고 있다.

의무판매제도란 자동차 업체에게 친환경차 의무판매량을 할당하고 이를 달성하지 못하면 미달한 판매량만큼 과징금을 부과하는 제도다.

물론, 내연기관을 반드시 사용해야하는 하이브리드 차는 매연을 내뿜을 수 밖에 없다. 또, 수소연료전지차의 경우 예상을 한참 벗어나는 가격을 차치하더라도, 일반 소비자가 이용할 수 있는 수소 충전소가 없다고 해도 될만큼 적다.

그렇다고 전기차가 최선의 대안이라고 말하기엔 '아직은 이르다'는 시각이 대부분이다.

전기차는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오랜 충전시간과 다른 차종에 비해 현저히 짧은 주행거리는 약점일 수 밖에 없다. 또, 정부가 꾸준히 충전시설을 늘리고는 있지만, 아직까지 부족한 것도 전기차 확산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의무 판매제도의 시행은 업체들에게 부담이 될 뿐이다. 아직 시간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자동차 산업은 다른 글로벌 업체들보다 한참 늦게 시동을 걸었다. 하지만 이제는 세계적인 시장 조사업체에서도 빼놓지 않고 언급할 만큼 중요한 위치까지 올라섰다.

자동차 산업이 이처럼 빠르게 발전할 수 있던 것은 국내 완성차 업체들의 부단한 노력도 있겠지만, 정부의 정책적인 뒷받침이 없었다면 이러한 열매를 맺을 수 없었을 것이다.

최근 친환경차나 자율주행차, 커넥티드 카, 수소자동차 등 자동차 시장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완성차 업체는 물론 IT, 통신업체까지 뛰어들어 이종 산업간의 협업은 물론 '적과의 동침'도 마다않고 새로운 먹거리를 선점하기 위해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시장이 격변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다시 한번 도약할 수 있는 기회가 돌아왔다는 뜻이기도 하다.

언제 다시 올지 모를 천재일우의 기회를 잡기 위해선 자동차 산업을 이끌어가야하는 업계와 정부 두 주체가 손을 잡고 발을 맞춰야 한다.

정부의 무리한 정책 추진으로 이제 곧 치열한 전투가 벌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전장에 뛰쳐 나가야할 업체들을 초반부터 지치게 해서는 안된다.

보조를 맞춰야 하는 경기에서 한쪽이 너무 앞서거나 뒤쳐지면 다른 한쪽은 결국 넘어지기 마련이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