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태 “보수우파 결집 위해 사과 메시지 필요”
김재원 “사과 반복은 내부 분열만 초래…지지층 결집 우선”
[일간투데이 신형수 기자] 국민의힘은 12·3 비상계엄 1주년을 앞두고 지도부의 대국민 사과 여부를 두고 당내 의견이 엇갈리며 논쟁이 격화되고 있다.
김성태 전 의원은 26일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장동혁 대표가 지방선거 승리를 위해서는 관련 메시지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더불어민주당이 내란세력 척결 프레임을 강화하는 상황에서 보수우파 진영의 결집만이 대응 수단”이라며 대국민 사과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 전 의원은 이어 “국민의힘은 현재 사과 메시지를 준비 중이며, 12·3은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이라며 “이를 통해 터닝포인트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윤석열 전 대통령 관련 문제는 극복 과제이며, 이를 통해 국민적 신뢰 회복과 제1야당의 건재함을 유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지방선거 패배 가능성을 경고하며 “정당 존재 이유는 각급 선거에서 승리하는 것”이라면서 장 대표의 결단과 변화의 포석 마련을 촉구했다.
반면 김재원 최고위원은 같은 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대국민 사과에 회의적 입장을 밝혔다.
그는 “무슨 날짜가 되었다고 반복적으로 사과해도 국민이 신뢰하지 않는다”면서 이미 김용태 비대위원장이 계엄 사태에 대해 사과했음을 상기시켰다.
김 최고위원은 “사과보다 앞으로의 정치 방향과 국민 신뢰 회복 방안을 강조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며 사과 반복이 오히려 내부 분열을 조장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중도층이 쉽게 움직일 만큼 내부가 안정되지 않았고, 정치 무관심층을 따라가면 손실이 크다”며 현재는 지지층 결집이 최우선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논쟁은 국민의힘 내부에서 선거 전략과 당 이미지 관리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됐음을 보여준다.
사과 찬성파는 정치적 책임과 보수 결집을 위한 전략적 메시지를 강조하며, 반대파는 불필요한 반복 사과가 오히려 정치적 부담과 내부 갈등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경고했다.
정치권에서는 12·3 1주년을 전후로 당내 메시지 방향과 공적 입장이 최종적으로 정리될 경우, 지방선거 판세와 중도층 지지율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양측 의견 차이는 당 지도부의 향후 전략 결정과 메시지 공개 시점에 따라 국민 신뢰 회복과 선거 성과에 직접적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